AutoCAD에는 설치시 기본적으로 많은 템플릿(Template) 파일이 함께 설치됩니다.
템플릿의 사전적 의미는 다르겠지만 워드 계열이나 AutoCAD에선..
미리 만들어 놓은 양식..정도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.
저 같은 경우는 AutoCAD와 Excel 에서 템플릿을 활용합니다.
AutoCAD의 경우는 미리 지정한 레이어가 들어가 있고
자주 쓰는 글꼴과 치수 스타일 등이 설정이되어 있어서
새 도면을 열 때마다 미리 지정한 레이어,글꼴,치수,선종류 등이 항상 새 도면에 있습니다.
Excel의 경우는 자주 쓰는 양식, 셀의 크기와 글꼴 설정 등이 된 빈 시트가 새로 열때마다 생겨납니다.
따라서 AutoCAD에서 템플릿을 활용하면 빈번히 같은 설정을 사용하는 새 도면을 작성시 아주 편리합니다.
템플릿을 만드는 것도 아주 쉽습니다.
1. 새 도면을 엽니다.
2. 레이어, 글꼴, 치수, 선종류 등 본인이 자주 쓰는 것을 올리고 만듭니다.
3. AutoCAD의 파일 메뉴에 다른 이름으로 저장 (Ctrl+Shift+S)을 선택합니다.
4. 다른 이름으로 저장 창의 맨 아래 파일 형식에서 'AutoCAD 도면 템플릿 (*.dwt)'을 선택합니다.
5. 위 확장자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AutoCAD의 템플릿 폴더로 저장 위치가 바뀌는데
여기서 저장할 템플릿을 선택합니다.(예 : acadiso.dwt 또는 acad.dwt 또는 새로운 이름으로 지정)
6.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.(위에서 acadiso.dwt, acad.dwt 등을 선택한 경우 덮어씁니다.)
7. 템플릿의 정보를 기록하는 창이 뜨면 확인 누릅니다.
이전 TIP 게시물인 새 도면 아이콘 선택시 바로 새도면 열리게하기 를 참조하여
방금 만든 템플릿(*.dwt) 파일을 지정하면 새 도면 아이콘을 누를때마다
자신이 방금 만든 템플릿 도면으로 새 도면이 생성됩니다.
'CAD > TI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calelistedit 명령후 명령어가 안먹을때 (0) | 2011.02.16 |
---|---|
레이어 특성창 클래식으로 보기(AutoCAD 2009 이상) (1) | 2011.02.16 |
AutoCAD 부드럽게 Zoom 되는 것 끄기(2006 이상) (0) | 2011.02.16 |
라인타입을 올릴 때 좀 더 빠르게 올리기 (0) | 2011.02.16 |
AutoCAD 명령 실행 중 계산 (0) | 2011.02.16 |